반응형
1. 개요
- 구글 클라우드에 내가 만든 서비스 업로드하고 배포하기
- 그럼 localhost말고 딴데서도 접속 가능함
2. 셋팅
runtime: nodejs
env: flex
manual_scaling:
instances: 1
resources:
cpu: 1
memory_gb: 0.5
disk_size_gb: 10
- server.js랑 동일한 경로에 app.yaml생성
3. 구글 클라우드 설정
- 위 링크로 접속하고
- 무료로 시작하기 눌러서 로그인 + 카드 등록 하셈
- My First Project 선택해주세여
- 좌측 탭 메뉴를 켜든 뭘 켜든 간에
- 서버리스 - App Engine을 선택함
- 리전은 서울로 고릅니다
- 서울 안되면 가까운 다른 곳 고릅니다
- 리소스는 nodejs
- Environment는 표준으로 설정하고
- Cloud SDK 다운받읍시다
- 막 다운받고 설치하고 해야함
- 윈도우는 그냥 다운받고 설치하면 되는데
- 맥북은 좀 귀찮음…터미널 준비합시다
- SDK 다운받고 server.js가 있는 경로에 압축푼 뒤에 터미널 열어줍니다
./google-cloud-sdk/install.sh
./google-cloud-sdk/bin/gcloud init
- 위 명령어 순서대로 실행하기
- 본인 프로젝트 ID를 선택해주세요
- 프로젝트 아이디는 메인 화면에서 My First Project 선택하면 확인 가능
./google-cloud-sdk/bin/gcloud app deploy
- 그럼 막 지가 알아서 배포 시작함
- 시간 좀 걸리니까 기다리세여
- 다 끝나면 접속 주소를 알려주는데 거기 접속해보면 됨
- Deploy service [default] to [https:// 어쩌구]
- 이런 식으로 접속 주소 알려줌
4. 삭제 방법
- 삭제할 프로젝트 선택하셈
- 근데 그냥 일시정지해도 됨, 좌측 탭에서
- App Engine - 설정 - 어플리케이션 사용중지 누르면 됨
- 완전 삭제하려면, 좌측 탭에서
- IAM 및 관리자 - 설정 - 종료 누르면 됨
반응형
'코딩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로 실시간 채팅 기능 만들기 (0) | 2023.02.08 |
---|---|
nodejs로 채팅방 기능 만들기 (0) | 2023.02.07 |
nodejs로 이미지 업로드 기능 만들기 (0) | 2023.02.05 |
nodejs에서 routes폴더 이용해서 라우터 관리하기 (0) | 2023.02.04 |
nodejs에서 회원 게시판 기능 만들기 (0) | 2023.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