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공부 (2) 썸네일형 리스트형 5분 파이썬(12) - 오류를 대비하기 위한 try 열심히 코드를 작성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했는데 오류가 발생하면 프로그램이 멈춥니다. 이때 예상치 못한 오류에 대응하기 위한 문법이 try입니다. 다른 말로는 예외처리라고도 합니다. 먼저 예제부터 살펴볼까요? try: print("4"/1) except: print("오류발생") 위 예제는 문자 "4"에 숫자1을 나누었을 때 발생하는 오류에 대응하기 위한 코드입니다. 여러분도 알다싶이 문자는 연산이 불가능합니다. 컴퓨터에서도 마찬가지라서 문자를 숫자로 연산하려하면 TypeError라는 오류가 발생합니다. 위 예제에서도 마찬가지로 TypeError가 발생하며, 오류 발생 시 except문에 들어있는 print함수가 실행됩니다. 다른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try: print("4"/1) except TypeE.. 5분 파이썬(10) - 클래스(feat. 클래스 쉽게 이해하기) 클래스 개념은 코린이들에게 끝판왕 같은 느낌입니다. 변수, 자료형 같은거 배울땐 코딩이 쉽게 느껴지다가 반복문, 조건문 배울땐 코딩이 적성에 맞는 것 같고 막 재밌고 그렇습니다. 함수까지 배우면 조금 어렵지만 해결했다는 성취감에 평생 코딩 하겠다고 다짐하게 되죠. 하지만 클래스를 배우기 시작하면 혼란스러워집니다. 클래스...이 클래스가 도대체 뭐길래 코딩 공부를 어렵게 만드는걸까요? 수많은 사람들이 클래스를 붕어빵틀에 비유합니다. 붕어빵틀에 반죽을 붓고, 팥이나 슈크림 등을 기호에 따라 넣어줍니다. 붕어빵을 다 구워내면, 생긴건 같은데 속에 들어있는 내용물이 다른 붕어빵이 탄생합니다. 클래스도 마찬가지입니다. 클래스를 선언하고, 고유한 데이터를 넣어주면 전체적인 틀은 동일하지만 고유한 데이터를 가진 서로..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