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 (3) 썸네일형 리스트형 5분 파이썬(9) - 함수 여기까지 오셨군요. 이제부턴 파이썬 심화 문법을 배워보겠습니다. 함수는 마법의 상자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편합니다. 이 마법의 상자에 데이터를 집어넣으면 함수를 구성하는 코드가 데이터를 가공해줍니다. 그리고 결과물을 보여줘요. 직접 한번 만들어볼까요? def 함수명(매개변수): 실행할 코드 함수의 기본 구조입니다. def 키워드 뒤에 함수명과 매개변수를 넣고, 들여쓰기된 공간에 실행할 코드를 입력하면 됩니다. 아, 콜론(:)도 빼먹으면 안되겠죠? 참고로 저기 있는 매개변수(파라미터)는 외부 데이터를 함수에 넣을때 사용하는 통로입니다. 매개변수에 값을 할당하면 그 값을 함수 안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간단한 예제를 살펴볼까요? def 덧셈(a, b): return a+b print(덧셈(1,2)).. 비전공자의 코딩 독학 - 파이썬[5] 값 입력받기 예제 안녕하세요. 오늘의 파이썬 코딩 독학 주제는 좋아하는게 무엇인지 입력받아서 문장으로 출력하는 예제입니다. 이전시간에 자료형에 대한 글을 올렸는데 비전공자 입장에서는 지루한 이론을 강의 형식으로 배우는게 그리 효율적이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그래서 제가 컴활이나 정보처리 기능사 같은 자격증을 취득할 때 사용한 방법으로 포스팅을 이어나가보려 합니다. 앞으로는 간단한 파이썬 예제들과 그 예제에 필요한 이론들을 골라서 알려드리는 방식을 통해 코딩 공부를 조금 더 재미있고 쉽게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는 오늘 사용할 소스코드입니다. favor = input('좋아하는게 뭐예요?') print('저는 %s를 좋아합니다.' % favor) 1. 소스코드 설명 (1) favor 값을 집어넣어 줄 변수입니다.. 비전공자의 코딩 독학 - 파이썬[4] 자료형(숫자형, 문자형) 안녕하세요. 오늘의 파이썬 코딩 독학 주제는 자료형 중 숫자형과 문자열입니다. 영어를 공부할때 단어를 외우고 문법을 공부하셨던 기억이 있으실겁니다. 프로그래밍 언어 역시 영어와 같습니다. 본격적으로 코딩을 하기 전 파이썬이라는 언어의 문법과 함수, 자료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1. print 함수 본론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print() 함수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파이썬으로 코딩을 할때 각종 연산의 결과물을 우리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출력하기 위하여 print 함수를 사용합니다. print(내용) 라고 코드를 작성한 후 디버깅을 하면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하단의 터미널 칸에 "내용"이 출력됩니다. 2. 숫자형 (1) 정수형 : 양의 정수, 음의 정수, 0 등 말그대로 정수를 뜻합니다.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