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iaDB (2) 썸네일형 리스트형 NestJS에서 MariaDB에 유저 정보 저장하기 들어가기에 앞서, 본 포스팅에서 사용한 MariaDB는 Docker를 활용해서 구동했습니다. NestJS에서는 TypeORM을 통해 DB와 NestJS를 연동합니다. ORM(Object Relational Mapping)은 이름 그대로 객체와 관계를 매핑해줍니다. 이렇게 매핑을 하게 되면 Nest에서 작성한 코드를 바탕으로 SQL을 생성하여 DB에 적용시켜줍니다. 말로만 하면 이해가 잘 안되니까 직접 해봅시다. npm install --save @nestjs/typeorm typeorm mysql2 @nestjs/config 우선 위 명령어를 입력하여 TypeORM을 설치합니다. DB_HOST=localhost DB_PORT=3306 DB_USER=root DB_PASS=1111 DB_DATABASE=t.. 웹서버[1] - LAMP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라즈베리파이에 LAMP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LAMP란? LAMP는 Linux, Apache2, MariaDB, PHP를 의미하는 약어로써 웹서버를 구축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4가지의 소프트웨어를 의미합니다. 우선 리눅스는 운영체제입니다. 일반 PC에 설치되어있는 윈도우와는 달리 대부분 웹서버와 모바일장치를 구동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라즈베리파이에 라즈비안을 설치하였으므로 이미 리눅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파치2는 오픈소스 웹서버 프로그램입니다. 모듈 시스템을 사용하므로 확장성이 굉장히 좋다는 것이 장점이며 PHP, MySQL(혹은 MariaDB)와 호환성이 좋습니다. 이에 APM(Apache, PHP, MySQL)이라는 약어도 생겨났으며 Nginx의 등장 이전까지는..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