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MV (11) 썸네일형 리스트형 NAS[7] - OMV5에 SFTP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OMV5에 SFTP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개요 (1) SFTP란? SFTP는 원격으로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SAMBA는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파일 공유가 가능하고, FTP는 보안 위험이 큰데, SFTP는 저런 단점들을 모두 커버할 수 있습니다. (2) SSH 활성화하기 SFTP는 SSH기반의 기술이므로 SSH를 활성화시켜주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좌측의 [서비스]-[SSH]탭으로 진입하신 후 SSH를 활성화시켜주세요. 이제 SSH권한을 설정해주도록 하겠습니다. 좌측의 [접근 권한 관리]-[사용자]탭으로 들어가주세요. SFTP에 사용할 사용자 계정을 선택하신 후 상단의 [편집] 버튼을 눌러주신 후 다음과 같이 [그룹]탭의 ssh항목에 체크하신 후 저장.. NAS[4] - OMV5에 Jellyfin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OMV5에 젤리핀을 설치해보겠습니다. 1. Jellyfin이란? 젤리핀은 쉽게 말하자면 나만의 넷플릭스 서버입니다. 본인이 소유한 영상을 넷플릭스처럼 WebUI기반으로 감상할 수 있게 해주는 무료 소프트웨어이며, 도커를 활용하여 쉽게 설치하실 수 있습니다. 비슷한 소프트웨어로는 PLEX가 있지만, 유료 이용권이 없으면 이용에 한계가 있으므로 젤리핀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2. 젤리핀 설치방법 (1) 폴더 만들기 a. 설정 폴더 만들기 젤리핀에 대한 설정 파일을 담을 폴더를 만들어주겠습니다.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폴더를 만들어줍니다. sudo mkdir -p /docker/jellyfin/config b. 데이터 폴더 만들기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폴더를 만들.. NAS[3] - OMV5에 Docker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OMV5에 Docker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개요 (1) 도커란? 도커는 리눅스의 필수 유틸리티 중 하나로써, 오픈소스 기반의 가상화 플랫폼입니다. 각종 소프트웨어와 그 소프트웨어의 실행환경을 컨테이너라는 개념으로 묶어서 배포, 구동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운영체제와 하드웨어에서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손쉽게 구동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나 웹서버 등 여러 프로그램을 사용해볼 수 있으니 꼭 설치해보세요. 2. 도커 설치하기 [시스템]-OMV-Extras]항목에 접속해주세요. 상단의 [Docker]탭에 들어가신 후 [Docker]-[+설치]버튼을 눌러주세요. 시간이 좀 걸리는데 무사히 설치가 완료되면 'Done'이라는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과.. NAS[2] - OMV5에 외장하드 마운트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OMV5에 외부 저장장치를 마운트 해보겠습니다. 1. 외부 저장장치의 종류 라즈베리파이에 연결 가능한 외부 저장장치의 종류는 무척 다양합니다. USB메모리부터, 외장하드, 외장SSD까지 대부분의 저장장치를 활용할 수 있지만, 한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라즈베리파이에서 지원하는 저장장치 규격이 USB밖에 없기때문에 무조건 USB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저는 오늘 USB 메모리를 OMV5에 마운트시켜보도록 하겠습니다. 2. 외부 저장장치 마운트 (1) USB 저장장치 연결 USB 메모리나 USB인터페이스의 외장 저장장치를 라즈베리파이에 연결해줍니다. 이후 [저장소]-[디스크]항목에 진입하시면 다음과 같이 '/dev/sda'와 '/dev/sdb'라는 장치가 보입니다. 장치가.. NAS[1] - OMV5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라즈베리파이에 오픈소스 NAS 운영체제인 OMV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개요 (1) NAS란? Network Attatched Storage의 약자인 NAS는 쉽게 말하면 개인용 클라우드 저장공간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NAS는 클라우드와는 달리 Docker를 설치해 웹서버를 구동한다던가, 미디어 스트리밍도 할 수 있습니다. 시중에 시놀로지나 큐냅 같은 상용 NAS가 판매되고 있지만 우리는 라즈베리파이를 활용하여 NAS를 직접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2) OMV란? OMV는 리눅스 기반의 오픈소스 NAS 운영체제입니다. 기본적으로 웹 기반의 GUI를 제공하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하게 구축이 가능하며, 데이터를 관리한다던가 각종 플러그인을 설치하는 과정이 클릭 몇번으로 가능합니.. OMV4[6] - Maria DB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OMV에 마리아 DB를 설치하겠습니다. 1. MariaDB란? MariaDB는 오픈소스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입니다. MySQL에서 포크되어 나왔으며 그래서인지 유사한 점이 상당히 많습니다. 원래는 MySQL이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의 아이콘과 같은 존재였지만 유료화의 아이콘 Oracle이 MySQL을 인수해버리면서 이에 반발한 MySQL개발자들이 떨어져나와 MariaDB를 만들었습니다. 2. MariaDB설치하기 2-1. 볼륨 생성하기 우선 포테이너에 접속해주세요. 좌측 패널에서 Volumes 항목을 선택하신 후 Add volume 버튼을 눌러주세요. 아래와 같이 볼륨 이름을 mariadb로 설정해주세요. 2-2. 이미지 다운받기 좌측의 Image list 탭을 눌러주신 후 .. OMV4[5] - 포테이너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OMV에 포테이너를 설치해보겠습니다. 1. 포테이너(Portainer)란? 포테이너는 도커를 WebUI형태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OMV에서의 도커 세팅도 물론 편리하지만 더 쉽고 간단하게 컨테이너 관리를 하기 위해 포테이너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포테이너 설치하기 우선 OMV 설정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도커 탭으로 들어가주세요. 우측 상단에서 portainer를 검색하신 후 눌러주세요. 복제본 당겨오기에 매개변수가 적용되면 시작을 눌러주세요. 이제 데이터를 저장할 폴더를 생성해줄게요.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여 portainer라는 폴더를 생성해주세요. cd /sharedfolders/appconfig mkdir portainer 다시 다음.. OMV4[4] - SAMBA/Docker 설정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SAMBA와 Docker설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SAMBA 설정하기 NAS를 사용하다보면 파일이나 폴더에 직접 접근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별도의 FTP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 내 컴퓨터에서 폴더에 접근하듯이 탐색기를 활용하여 NAS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SAMBA를 설정해주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서비스] - [SMB/CIFS] 탭으로 들어가신 후 일반설정을 활성화시켜주신 후 저장해줍니다. 이번엔 상단의 [공유] 탭을 눌러준 후 [추가] 버튼을 눌러줍니다. 공유폴더 항목에서 공유를 원하는 폴더를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이제 Win키 + R키 를 눌러서 실행창을 띄워주신 후 NAS의 IP주소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다음과 같이 로그인 하라는 창이 뜨나요? 로그인은 사용..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