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VNC

(3)
WSL2[3] - 데스크탑 환경 설치하고 VNC로 접속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WSL2에 우분투 데스크탑을 설치하고, VNC를 이용하여 원격 접속해 보겠습니다. 1. VNC란? VNC는 다른 컴퓨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입니다. WSL2에 우분투를 설치하였을때, 터미널 환경에서만 우분투를 사용할 수 있었지만, 데스크탑 환경을 설치하고 VNC를 활용하면 WSL2에 설치한 우분투도 데스크탑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2. 우분투 데스크탑 설치하기 우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우분투를 업데이트해줍니다. 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우분투 데스크탑을 설치해줍니다. sudo apt-get install ubuntu-desktop 시간이 좀 오래 걸리니 기다려주세요. 3. VNC 설치하기 VNC를 ..
라즈베리파이[4] - 외부에서 접속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라즈베리파이를 외부에서 접속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들어가기에 앞서 우리는 앞서 내부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라즈베리파이에 원격 접속하는 방법을 배워보았습니다. 2020/03/29 - [IT/라즈베리파이] - 라즈베리파이[3] - 원격 접속하기 IP도 고정적으로 할당하였기 때문에 라즈베리파이와 동일한 네트워크 망에서는 언제든 손쉽게 접속할 수 있게 되었지만 카페나 학교, 사무실 같은 외부 네트워크 환경에서 집에 설치해둔 라즈베리파이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포트포워딩이라는 작업을 해줘야 합니다. 2. 포트포워딩이란? 우리가 택배를 받기 위해 집 주소를 사용하듯이 인터넷을 통해 다른 기기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상에서의 주소를 발급받아야합니다. 이 주소를 바로 IP라고 부르며 전 세계적으..
라즈베리파이[3] - 원격 접속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라즈베리 파이에 원격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라즈베리파이는 기본적으로 초소형 컴퓨터이기 때문에 운영체제를 설치하면 데스크탑 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메인 컴퓨터가 따로 있는데 모니터가 하나밖에 없다면 메인 컴퓨터와 연결해두었던 모니터와 키보드, 마우스 등을 매번 라즈베리파이에 연결해줘야 한다면 무척 불편할 것입니다. 그래서 보통 라즈베리파이에 원격 접속을 가능하게 만들어두고 메인피씨에서 바로 작업을 진행하곤 합니다. 라즈베리파이의 기본 운영체제인 라즈비안은 리눅스 기반의 운영체제인데 리눅스가 기본적으로 다중 사용자(Multi User)를 지원하므로 여러명의 사용자가 각각 원격 접속을 통해 메인 PC에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 할 수 있습니다. 즉, 동시에 두명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