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37) 썸네일형 리스트형 우분투[4] - 크롬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분투에 크롬을 설치해보겠습니다. 1. 개요 우분투에는 기본적으로 파이어폭스가 설치되어있는데요. 파이어폭스도 훌륭한 웹 브라우저이지만 북마크 동기화나 플러그인 등 저만의 환경에 익숙해져 있는 상황에서 크롬이 간절해서 한번 설치해보겠습니다. 2. 크롬 설치하기 우선 다음과 같이 터미널창을 열어주신 후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여 크롬 설치용 인증키를 받아주세요. wget -q -O - https://dl-ssl.google.com/linux/linux_signing_key.pub | sudo apt-key add - 이번엔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여 크롬 패키지를 다운로드받을 PPA(Personal Package Archive)를 sources.list.d에 추가해주세요. sudo.. 우분투[3] - nano 에디터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분투에 nano 에디터를 설치해보겠습니다. 1. Nano 에디터란? vim과 함께 리눅스 환경에서 가장 유명한 에디터 중 하나입니다. 온갖 단축키들을 외워야 자유자재로 쓸 수 있는 vim과는 달리 nano는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초보자들에게 인기가 많은 에디터입니다. 2. Nano 에디터 설치하기 바탕화면에서 [ctrl + alt + T]를 눌러주시면 터미널 창이 뜹니다. 이제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sudo apt-get install nano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문구가 출력되면 당황하지 마시고 계정에 로그인할때 입력하셨던 비밀번호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이제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테스트해볼게요.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해주세요. sudo nano tes.. 우분투[2] - 비쥬얼 스튜디오 코드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분투에 비쥬얼 스튜디오 코드를 설치해보겠습니다. 1. 비쥬얼 스튜디오 코드란? 비쥬얼 스튜디오 코드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텍스트 에디터입니다. 윈도우와 리눅스, 맥 운영체제를 모두 지원하는 크로스 플랫폼이며 여러가지 플러그인의 도움으로 텍스트에디터임에도 IDE수준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비쥬얼 스튜디오 코드 다운받기 우선 좌측 상단의 파이어 폭스 아이콘을 클릭해 웹 브라우저를 실행시킵니다. 다음과 같이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를 검색해주세요. 아래와 같이 [Download Visual Studio Code] 를 눌러주세요.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면 붉은 체크박스로 표시해둔 버튼을 눌러서 설치파일을 다운받아줍니다. 여기서 [OK]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3. 비쥬얼 스튜디.. 우분투[1] - VMWare에 우분투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VMWare에 우분투를 설치해보겠습니다. 1. VMWare란? VMWare는 가상화 환경을 구성하는 소프트웨어를 제작하는 회사의 이름입니다. 윈도우 운영체제에 가상환경을 구축하여 우분투나 CentOS 같은 별개의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으며 손쉬운 사용방법과 설치방법 덕분에 이용자 수가 상당히 많은 편입니다. 우리는 VMWare Workstation 15버전을 설치할 예정입니다. 2. VMWare 설치하기 우선 아래 링크로 접속하여 줍니다. https://www.vmware.com/products/workstation-player/workstation-player-evaluation.html 아래와 같은 화면에서 붉은 체크박스로 표시된 버튼을 눌러주세요. 다운받은 설치파일을 실행하신 .. OMV4[4] - SAMBA/Docker 설정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SAMBA와 Docker설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SAMBA 설정하기 NAS를 사용하다보면 파일이나 폴더에 직접 접근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별도의 FTP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 내 컴퓨터에서 폴더에 접근하듯이 탐색기를 활용하여 NAS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SAMBA를 설정해주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서비스] - [SMB/CIFS] 탭으로 들어가신 후 일반설정을 활성화시켜주신 후 저장해줍니다. 이번엔 상단의 [공유] 탭을 눌러준 후 [추가] 버튼을 눌러줍니다. 공유폴더 항목에서 공유를 원하는 폴더를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이제 Win키 + R키 를 눌러서 실행창을 띄워주신 후 NAS의 IP주소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다음과 같이 로그인 하라는 창이 뜨나요? 로그인은 사용.. OMV4[3] - 설정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OMV4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1. 외장하드 마운트 NAS를 잘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저장장치가 필요합니다. 그냥 노트북의 기존 저장장치를 사용해도 되지만 만약 외장하드를 가지고 계신다면 한번 OMV에 인식시켜보겠습니다. 우선 [저장소] - [디스크] 탭으로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이 저장소 목록이 나옵니다. 이 중에서 /dev/sda는 OMV가 설치된 디스크이고, /dev/sdb는 추가로 연결된 저장장치입니다. 제 경우는 외장하드를 한개 연결 해두었으므로 /dev/sdb 항목이 존재합니다. 먼저 장치를 초기화해야하니 해당 장치를 선택하신 후 지우기를 눌러주세요. 빠르게를 눌러 장치 초기화를 완료해주시면 됩니다. 이번엔 [저장소] - [파일 시스템] 탭으로 들어가서 .. OMV4[2] - OMV4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가상머신에 OMV4를 설치해보겠습니다. 1. 가상머신에 OMV 설치하기 지난시간 설치한 VMware와 OMV의 설치이미지를 이용하여 가상환경에 OMV를 설치해보겠습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혹시 아래 사진들로 확인할 수 없는 옵션이나 선택지들이 나타난다면 그냥 Next 버튼과 다음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우선 VMware를 켜고 아래와 같이 Create a New Virtual Machine 버튼을 클릭합니다. 다음과 같이 OMV의 설치 이미지를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어떤 운영체제 기반인지 물어보면 리눅스, 데비안 기반이라고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VMware에 표시될 이름을 적어주신 후 가상머신을 어떤 방법으로 저장할지, 얼마만큼의 용량을 할당할지 정해주시면 됩니다. 첫번째 옵션은 .. OMV[1] - OMV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픈소스 NAS 운영체제인 OMV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OMV란? OMV는 리눅스 기반의 오픈소스 NAS 소프트웨어입니다. 웹 기반의 GUI를 제공하기 때문에 편리한 구축이 가능하며 왠만한 유지보수, 디스크 증축, 사용자 관리 등이 클릭 몇번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초보자들에게 아주 좋은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대로된 서버를 운영하기에는 다소 무겁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2. 설치방법 설치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VMWare등 가상머신을 사용하여 설치하는 방법과 하드웨어에 네이티브로 직접 설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서 가상머신은 여러분의 컴퓨터에 가상으로 또다른 컴퓨터를 만드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합며 네이티브는 여러분의 컴퓨터에 직접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것..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