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 (10) 썸네일형 리스트형 System has not been booted with systemd as init system (PID 1) 해결하기 도커가 안된다.왜 안되는지 구글링 열심히 해봤는데 본인이 만약 WSL을 방금 설치했고, 도커를 설치했는데 이런 오류를 만난거라면 아래와 같이 해보면 해결될것. 먼저 power shell을 열고, 아래 명령어를 실행한다.wsl --updatewsl이 업데이트 되고, 우분투를 껐다가 켜보면 docker가 정상적으로 실행된다. 우분투에 홈어시스턴트 supervised 도커로 설치하기 LG의 무선 진공청소기를 샀는데 이게 IoT기능이 들어가서 휴대폰으로 이것 저것 조작할 수 있었다. 그런데 진공청소기를 다 쓰고 충전 거치대에 걸어놓으면 충전이 다 되었다고 폰으로 알림이 온다. 뭔가 계속 충전하고 있으면 배터리 수명에 안 좋을 것 같아서 홈어시스턴트로 청소기 전원을 컨트롤 해보기로 했다. 1. 장치 리스트 내가 스마트홈 구축을 위해 사용한 장치들은 딱 세가지다. (1) 오디세이 SBC SeeedStudio에서 출시한 Odyssey x86 J4125 를 리눅스 서버로 선택했다. 손바닥만한 사이즈에 깔끔한 호환 케이스도 존재하고, 메모리도 8GB인데다가 SSD도 별도 장착이 가능하다. USB DP-ALT를 지원해서 C type 케이블로 모니터 출력이 가능하고 랜 포트도 두개나 달려있어서 이.. 우분투[8] - 마인크래프트 24시간 서버 만들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에 마인크래프트 베드락 서버를 구축해보겠습니다. 1. 개요 마인크래프트는 방대한 맵크기를 자랑하는 오픈월드 생존 게임입니다. 무한대에 가까운 자유도를 바탕으로 광물을 채취해 무기와 도구를 제작하고 농사를 짓거나 가축을 길러 자급자족 하는 등 현대 사회에서 직접 경험하기 힘든 1차 산업을 가상으로 접해볼 수 있습니다. 특히 친구들과 함께 집을 짓고 새로운 지형을 탐험하는 등 다양한 컨텐츠를 갖고있습니다. 저도 이번에 친구들과 마인크래프트를 하면서 24시간 열려있는 우리들을 위한 게임 서버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여 직접 서버를 구축해보았습니다. 2. 주의사항 기본적으로 마인크래프트는 자바 에디션과 베드락 에디션으로 나뉘어집니다. 버전이 나뉘어진 만큼 각 버전의 사용자들은 함께 게임.. 우분투[7] - 도커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분투에 도커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개요 리눅스에서는 대부분의 작업을 글자투성이 터미널에 의존하기 때문에 윈도우에 익숙하신 분들이 리눅스에 적응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로 작용합니다. 리눅스를 좀 만져보셨다면 PHP와 MariaDB, Apache를 설치해보셨을텐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서치할때도 여러줄의 명령어를 입력하여야 합니다. 또한 각 어플리케이션을 정상적으로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환경을 미리 구축해주어야 합니다. 안그래도 명령어로 가득한 리눅스인데 필요한 어플리케잇녀을 설치하기 위해 또 명령어를 입력하게 되면 너무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이런 명령어가 단순히 몇개의 단어로만 이루어져 있는게 아니기때문에 매번 구글링 하여 명령어를 복사, 붙여넣.. 라즈베리파이[11] - 라즈베리파이에 우분투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라즈베리파이에 우분투를 설치해보겠습니다. 1. 개요 (1) 우분투란? 우분투는 가장 유명한 리눅스 배포판 운영체제 중 하나입니다. 6개월마다 한번씩 업데이트되는 우분투는 크게 데스크탑용, 서버용으로 나뉘며 라즈베리파이 전용 버전도 존재합니다. 현재 가장 최신 버전은 20.10버전이며 우리는 라즈베리파이용 우분투 데스크탑의 20.10버전을 설치할 예정입니다. (2) ARM용 우분투 라즈베리파이는 보통의 컴퓨터와는 조금 다른 프로세서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일반 컴퓨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우분투를 설치하면 정상적인 이용이 불가능하며 ARM프로세서를 위한 우분투를 설치해주어야 합니다. 여기서 놀라운점은 라즈베리파이용 우분투가 64bit를 지원한다는 사실입니다. 32bit에서는 메모리를 4GB까.. NAS[3] - OMV5에 Docker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OMV5에 Docker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개요 (1) 도커란? 도커는 리눅스의 필수 유틸리티 중 하나로써, 오픈소스 기반의 가상화 플랫폼입니다. 각종 소프트웨어와 그 소프트웨어의 실행환경을 컨테이너라는 개념으로 묶어서 배포, 구동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운영체제와 하드웨어에서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손쉽게 구동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나 웹서버 등 여러 프로그램을 사용해볼 수 있으니 꼭 설치해보세요. 2. 도커 설치하기 [시스템]-OMV-Extras]항목에 접속해주세요. 상단의 [Docker]탭에 들어가신 후 [Docker]-[+설치]버튼을 눌러주세요. 시간이 좀 걸리는데 무사히 설치가 완료되면 'Done'이라는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과.. WSL2[2] - Docker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WSL2를 활용하여 도커를 설치해보겠습니다. 1. 도커란? 도커는 쉽게 말해서 특정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해 독립적인 가상환경을 구성해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완전히 독립된 환경에서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개발환경 구성 및 소프트웨어 배포까지 편리하게 만들어줄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도구입니다. 2. 도커 설치하기 우선 아래 링크로 접속합니다. hub.docker.com/editions/community/docker-ce-desktop-windows Docker Desktop for Windows - Docker Hub Docker Desktop for Windows Docker Desktop for Windows is Docker designed to run on Windows.. OMV4[5] - 포테이너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OMV에 포테이너를 설치해보겠습니다. 1. 포테이너(Portainer)란? 포테이너는 도커를 WebUI형태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OMV에서의 도커 세팅도 물론 편리하지만 더 쉽고 간단하게 컨테이너 관리를 하기 위해 포테이너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포테이너 설치하기 우선 OMV 설정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도커 탭으로 들어가주세요. 우측 상단에서 portainer를 검색하신 후 눌러주세요. 복제본 당겨오기에 매개변수가 적용되면 시작을 눌러주세요. 이제 데이터를 저장할 폴더를 생성해줄게요.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여 portainer라는 폴더를 생성해주세요. cd /sharedfolders/appconfig mkdir portainer 다시 다음..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