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파이 (24) 썸네일형 리스트형 NAS[6] - OMV5에 Nextcloud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OMV5에 Nextcloud를 설치하겠습니다. 1. 개요 (1) Nextcloud란? 넥스트클라우드는 여러분이 흔히 아시는 네이버 클라우드나 구글 클라우드 등과 같은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만들어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넥스트 클라우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가 필요한데, 우리는 MariaDB라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겠습니다. (2) MariaDB란? 마리아DB는 가장 유명한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중 하나입니다. 역시 가장 유명한 상용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인 MySQL에서 포크된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두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는 거의 동일한 사용법을 갖고 있습니다. 2. Nextcloud 설치하기 (1) 마리아DB설치하기 우선 포테이너에 접속 하신 후, 좌측의 .. NAS[4] - OMV5에 Jellyfin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OMV5에 젤리핀을 설치해보겠습니다. 1. Jellyfin이란? 젤리핀은 쉽게 말하자면 나만의 넷플릭스 서버입니다. 본인이 소유한 영상을 넷플릭스처럼 WebUI기반으로 감상할 수 있게 해주는 무료 소프트웨어이며, 도커를 활용하여 쉽게 설치하실 수 있습니다. 비슷한 소프트웨어로는 PLEX가 있지만, 유료 이용권이 없으면 이용에 한계가 있으므로 젤리핀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2. 젤리핀 설치방법 (1) 폴더 만들기 a. 설정 폴더 만들기 젤리핀에 대한 설정 파일을 담을 폴더를 만들어주겠습니다.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폴더를 만들어줍니다. sudo mkdir -p /docker/jellyfin/config b. 데이터 폴더 만들기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폴더를 만들.. NAS[3] - OMV5에 Docker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OMV5에 Docker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개요 (1) 도커란? 도커는 리눅스의 필수 유틸리티 중 하나로써, 오픈소스 기반의 가상화 플랫폼입니다. 각종 소프트웨어와 그 소프트웨어의 실행환경을 컨테이너라는 개념으로 묶어서 배포, 구동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운영체제와 하드웨어에서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손쉽게 구동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나 웹서버 등 여러 프로그램을 사용해볼 수 있으니 꼭 설치해보세요. 2. 도커 설치하기 [시스템]-OMV-Extras]항목에 접속해주세요. 상단의 [Docker]탭에 들어가신 후 [Docker]-[+설치]버튼을 눌러주세요. 시간이 좀 걸리는데 무사히 설치가 완료되면 'Done'이라는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과.. NAS[2] - OMV5에 외장하드 마운트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OMV5에 외부 저장장치를 마운트 해보겠습니다. 1. 외부 저장장치의 종류 라즈베리파이에 연결 가능한 외부 저장장치의 종류는 무척 다양합니다. USB메모리부터, 외장하드, 외장SSD까지 대부분의 저장장치를 활용할 수 있지만, 한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라즈베리파이에서 지원하는 저장장치 규격이 USB밖에 없기때문에 무조건 USB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저는 오늘 USB 메모리를 OMV5에 마운트시켜보도록 하겠습니다. 2. 외부 저장장치 마운트 (1) USB 저장장치 연결 USB 메모리나 USB인터페이스의 외장 저장장치를 라즈베리파이에 연결해줍니다. 이후 [저장소]-[디스크]항목에 진입하시면 다음과 같이 '/dev/sda'와 '/dev/sdb'라는 장치가 보입니다. 장치가.. NAS[1] - OMV5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라즈베리파이에 오픈소스 NAS 운영체제인 OMV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개요 (1) NAS란? Network Attatched Storage의 약자인 NAS는 쉽게 말하면 개인용 클라우드 저장공간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NAS는 클라우드와는 달리 Docker를 설치해 웹서버를 구동한다던가, 미디어 스트리밍도 할 수 있습니다. 시중에 시놀로지나 큐냅 같은 상용 NAS가 판매되고 있지만 우리는 라즈베리파이를 활용하여 NAS를 직접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2) OMV란? OMV는 리눅스 기반의 오픈소스 NAS 운영체제입니다. 기본적으로 웹 기반의 GUI를 제공하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하게 구축이 가능하며, 데이터를 관리한다던가 각종 플러그인을 설치하는 과정이 클릭 몇번으로 가능합니.. 웹서버[3] - Nginx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라즈베리파이에 Nginx를 설치해보겠습니다. 1. Nginx란 ? 일전에 라즈베리파이에 LAMP 설치하기 포스팅을 했었는데, 그때 apache라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설치했었습니다. Nginx는 apache와 같은 웹서버 프로그램으로써 2004년 발표된 비교적 젊은 웹서버 프로그램입니다. 아파치 웹서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차세대 웹서버 프로그램이라는 별명답게 많은 사람들이 아파치에서 Nginx로 갈아타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네이버, 디시인사이드, 루리웹, 요기요 등 다양한 기업에서 Nginx를 사용하고 있으며 해외에서는 페이스북, 깃허브 등 역시 다양한 기업에서 사용중입니다. 2. Nginx 설치하기 라즈베리파이에서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기전에 필수적으로 다음 과정을 거쳐.. 라즈베리파이[9] - 아두이노로부터 읽어들인 센서값 라즈베리파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두이노에 연결된 센서에서 읽어들인 데이터를 라즈베리파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보겠습니다. 1. 통신환경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는 다양한 방법으로 통신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USB를 통해 시리얼 통신을 하는 환경에서 데이터를 읽어들이겠습니다. 시리얼 통신포트는 파이썬 코드로 데이터를 DB에 입력시킬때 필요합니다. 이때 통신포트가 본인의 환경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데 라즈베리파이에 아두이노를 연결하고 코드를 업로드 할때 사용하는 포트를 기억해두시면 됩니다. 아래 사진을 참고해주세요. 저의 경우는 /dev/ttyACM0 2.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은 오픈소스인 마리아DB를 사용하겠습니다. 오늘 사용할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db계정은 root -db명은 te.. 웹서버[2] - MySQL root 비밀번호 설정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MySQL에서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설정해보겠습니다. MySQL을 최초 설치하게되면 root 계정에 비밀번호가 설정되어있지 않습니다.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여 MySQL에 접속해줍니다. mysql -u root -p 만약 ERROR 1698(280000) : Access denied for user 'root'@'localhost' 라는 메시지가 뜨면 다음과 같이 명령어 앞에 sudo를 붙여줍니다. sudo mysql -u root -p 명령어가 정상적으로 입력되면 Enter password: 라고 뜹니다. 이제 그냥 엔터를 입력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됩니다. 이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해서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해주세요. use mysql; 이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비..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