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뭐야 (4) 썸네일형 리스트형 DDNS(Dynamic DNS) 안녕하세요. 오늘은 DDN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DNS란? DNS(Domain Name System)은 인터넷 환경을 조금 더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시스템입니다. 우리가 흔히 접속하는 네이버, 다음, 구글 등은 사이트의 주소가 모두 IP주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google.com, naver.com, daum.net 등 영문으로 된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여 접속합니다. 이처럼 도메인 이름과 IP주소를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하는게 DNS 입니다. 다시말해서 우리가 google.com이라는 도메인 이름을 주소창에 입력하는 행위가 사실은 구글 서버의 IP 주소를 입력하는 행위와 같았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DNS 서버에서 google.com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 그와.. 지그비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그비(Zig Be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지그비란? 지그비는 초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의미합니다.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의 경쟁대상이지만 일반 사람들에겐 그리 많이 알려져있지 않은 기술입니다. 2. 지그비의 특징 저전력기술을 적용하여 AA사이즈 건전지로도 수개월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디바이스 유지보수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프로토콜 스택이 작아 구현이 복잡하지 않습니다. 3. 지그비의 구성 지그비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바이스는 3가지가 있습니다. (1) 코디네이터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연결해주는 가장 중요한 디바이스입니다. 각 네트워크마다 단 한개의 코디네이터가 있으며 네트워크를 총괄하는 역할을 합니다. (2) 라우터 데이터를 전달해주는 라우터 역할과 어플리케이.. 데이터베이스 안녕하세요. 오늘은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데이터베이스(Database)란? 단순하게는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단독적으로 서비스되지 않으며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과 함께 제공 됩니다. 여기서 데이터(Data)란 단순한 관찰이나 측정 등을 통해 현실 세계로부터 수집된 사실이나 값을 의미합니다. 이런 데이터 중에서도 조직화되고 체계화 된 데이터로서 의사 결정권자에게 판단 근거를 제공하는 것을 '정보'라고 합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는 바로 '정보'로서의 데이터를 의미하며 우리가 흔히 말하는 데이터베이스는 '정보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2.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현재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형식의 데이터베이스이며 데이터를 행과 열.. 빅데이터 안녕하세요. 오늘은 빅데이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빅데이터(Big Data)란? 빅데이터란 간단하게 말해서 말그대로 정말 거대한 양의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빅데이터는 기본적으로 데이터의 생성량이 크며 데이터의 생성 주기가 짧고, 데이터의 형태가 수치 뿐만 아니라 문자와 영상까지 포함됩니다. 이러한 빅데이터의 특징은 '3V'라는 용어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첫째로 크기(Volume) 두번째로 다양성(Variety) 세번째로 속도(Velocity) 여기에 더해 최근에는 정확성(Veracity), 가변성(Variability), 가치(Value), 시각화(Visualization) 등이 추가되었습니다. 2. 빅데이터의 활용 사례 빅데이터를 활용하면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그..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