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b

(3)
NestJS에서 MariaDB에 유저 정보 저장하기 들어가기에 앞서, 본 포스팅에서 사용한 MariaDB는 Docker를 활용해서 구동했습니다. NestJS에서는 TypeORM을 통해 DB와 NestJS를 연동합니다. ORM(Object Relational Mapping)은 이름 그대로 객체와 관계를 매핑해줍니다. 이렇게 매핑을 하게 되면 Nest에서 작성한 코드를 바탕으로 SQL을 생성하여 DB에 적용시켜줍니다. 말로만 하면 이해가 잘 안되니까 직접 해봅시다. npm install --save @nestjs/typeorm typeorm mysql2 @nestjs/config 우선 위 명령어를 입력하여 TypeORM을 설치합니다. DB_HOST=localhost DB_PORT=3306 DB_USER=root DB_PASS=1111 DB_DATABASE=t..
SQLite Studio로 아주 쉽게 DB에 table 생성하고 데이터 삽입, 제거해보기 SQLite는 아주 가벼운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입니다. 가볍다는 말은 기능이 적다는 말도 되지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말도 됩니다. 실제로 SQLite는 하나의 파일에 데이터베이스 전체를 기록하기 때문에 해당 파일만 백업하면 됩니다. 다른 장점으로는 표준 SQL 문법을 지원하기 때문에 MariaDB나 MySQL을 사용해보셨다면 SQLite에 무리없이 적응하실 수 있습니다. 물론 가벼운 DBMS 프로그램인 만큼 대량의 데이터를 다루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래도 DB 공부를 목적으로 한다면 가장 간단하고 편리한 학습 도구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오늘은 SQLite Studio를 이용해서 GUI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을 생성하고 데이터를 삽입, 제거하는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SQ..
라즈베리파이[9] - 아두이노로부터 읽어들인 센서값 라즈베리파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두이노에 연결된 센서에서 읽어들인 데이터를 라즈베리파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보겠습니다. 1. 통신환경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는 다양한 방법으로 통신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USB를 통해 시리얼 통신을 하는 환경에서 데이터를 읽어들이겠습니다. 시리얼 통신포트는 파이썬 코드로 데이터를 DB에 입력시킬때 필요합니다. 이때 통신포트가 본인의 환경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데 라즈베리파이에 아두이노를 연결하고 코드를 업로드 할때 사용하는 포트를 기억해두시면 됩니다. 아래 사진을 참고해주세요. 저의 경우는 /dev/ttyACM0 2.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은 오픈소스인 마리아DB를 사용하겠습니다. 오늘 사용할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db계정은 root -db명은 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