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서버 (9) 썸네일형 리스트형 가족 홈서버[1] - 네트워크망 구성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랜만에 홈서버로 돌아왔습니다. 1. 개요 홈서버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하게 된 계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어느날 가족이 휴대폰의 사진을 백업하고 싶다며 SD카드 추천을 부탁하더군요. 하지만 곧 이사를 하게되고, 새로운 컴퓨터를 구매할 예정이라 오래된 컴퓨터 한 대가 남게 되는데 제가 그걸로 NAS를 만들어주겠다고 하면서 홈서버 에 대한 고민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단순히 SD카드를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거창하게 가족들을 위한 홈서버를 만들려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집에 있는 PC간에 자료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고, 네트워크에 프린터를 1대 물려서 방에서도 거실에 있는 프린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영상이나 사진 같은 미디어자료를 TV나 컴퓨터, 휴대폰으로 자유롭게 .. OMV4[5] - 포테이너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OMV에 포테이너를 설치해보겠습니다. 1. 포테이너(Portainer)란? 포테이너는 도커를 WebUI형태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OMV에서의 도커 세팅도 물론 편리하지만 더 쉽고 간단하게 컨테이너 관리를 하기 위해 포테이너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포테이너 설치하기 우선 OMV 설정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도커 탭으로 들어가주세요. 우측 상단에서 portainer를 검색하신 후 눌러주세요. 복제본 당겨오기에 매개변수가 적용되면 시작을 눌러주세요. 이제 데이터를 저장할 폴더를 생성해줄게요.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여 portainer라는 폴더를 생성해주세요. cd /sharedfolders/appconfig mkdir portainer 다시 다음.. OMV4[4] - SAMBA/Docker 설정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SAMBA와 Docker설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SAMBA 설정하기 NAS를 사용하다보면 파일이나 폴더에 직접 접근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별도의 FTP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 내 컴퓨터에서 폴더에 접근하듯이 탐색기를 활용하여 NAS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SAMBA를 설정해주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서비스] - [SMB/CIFS] 탭으로 들어가신 후 일반설정을 활성화시켜주신 후 저장해줍니다. 이번엔 상단의 [공유] 탭을 눌러준 후 [추가] 버튼을 눌러줍니다. 공유폴더 항목에서 공유를 원하는 폴더를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이제 Win키 + R키 를 눌러서 실행창을 띄워주신 후 NAS의 IP주소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다음과 같이 로그인 하라는 창이 뜨나요? 로그인은 사용.. OMV4[2] - OMV4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가상머신에 OMV4를 설치해보겠습니다. 1. 가상머신에 OMV 설치하기 지난시간 설치한 VMware와 OMV의 설치이미지를 이용하여 가상환경에 OMV를 설치해보겠습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혹시 아래 사진들로 확인할 수 없는 옵션이나 선택지들이 나타난다면 그냥 Next 버튼과 다음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우선 VMware를 켜고 아래와 같이 Create a New Virtual Machine 버튼을 클릭합니다. 다음과 같이 OMV의 설치 이미지를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어떤 운영체제 기반인지 물어보면 리눅스, 데비안 기반이라고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VMware에 표시될 이름을 적어주신 후 가상머신을 어떤 방법으로 저장할지, 얼마만큼의 용량을 할당할지 정해주시면 됩니다. 첫번째 옵션은 .. 홈 서버 만들기[5] ESXi 안녕하세요. 오늘은 홈서버에 사용할만한 운영체제 중 하나인 ESX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ESXi란 ? ESXi는 VMWare에서 만든 가상화 기반 운영체제입니다. 윈도우에서 사용할 수 있는 VMWare Player나 버츄얼 박스와는 다르게 윈도우와 같은 운영체제의 역할을 하며 ESXi 위에 가상머신으로 윈도우와 우분투 등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높은 하드웨어 성능을 빈틈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해야하는 서버의 용도로 최적인 운영체제이므로 기업에서 상업용으로 많이 사용하기때문에 비슷한 기능을 가진 소프트웨어들 중에서는 무료 소프트웨어가 드물지만 VMWare에서 ESXi를 무료로 배포해 개인 사용자도 가상화 기반 운영체제에 접근하기 쉬워졌습니다. 2. ESXi를 어떻게 사용하는가 앞서 말했.. 홈 서버 만들기[4] NAS 안녕하세요. 오늘은 홈서버의 용도 중 데이터 서버와 미디어 서버 역할을 맡아줄 NA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NAS란? NAS는 Network Attached Storage의 약자로 말그대로 온라인으로 접속 가능한 저장소를 의미합니다. 네이버 클라우드나 드랍박스, 구글 드라이브 등 클라우드 저장소를 떠올리시면 쉽게 이해되는 개념으로써 이같은 클라우드 서버를 개인이 구축할 수 있도록 해주는게 바로 NAS입니다. SSD가 등장 하고, 고용량의 SSD도 쉽게 접할 수 있게된데다가 M.2규격의 저장장치가 보편화되면서 점차 하드디스크를 장착하지 않는 추세로 흘러가고 있으며 근래들어 출시되는 데스크탑 케이스들은 어지간한 사이즈의 케이스가 아니면 HDD베이가 충분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1인 방송 등 영상작업을 .. 홈 서버 만들기[3] 우분투 서버 안녕하세요. 오늘은 홈 서버에 사용할만한 운영체제인 우분투 서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우분투 서버란? 우선 우분투(Ubuntu)는 리눅스 기반의 오픈소스 운영체제 입니다. 데스크탑용 우분투와 달리 우분투 서버는 윈도우와 같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방식의 운영체제가 아니므로 터미널을 통해 명령어를 직접 입력해줘야만 합니다. 따라서 일정 수준 이상의 리눅스 이해도가 필요하며 다루기 어려운 대신 용량도 가볍고 서버 용도로 최적화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서버용 우분투에 특정 명령어를 입력하면 데스크탑 우분투로 바꿀 수 있으며 데스크탑 우분투에도 역시 서버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서버용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우분투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실때는 일반버전이 아니라 LTS 버전을 받으셔야 최.. 홈 서버 만들기[2] 계획수정 안녕하세요. 오늘은 홈서버 만들기의 플랜B를 들고왔습니다. 앞서 ESXI에 가상머신을 3개 올리는 종합적인 홈서버 계획에 대해 말씀드렸는데 예산이라던가 물리적인 공간의 부족, 효율적인 유지보수를 위한 서버 분할을 위해 플랜 B도 가지고 왔습니다. 1. 개요 플랜 B를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하나의 하드웨어에 3개의 가상머신을 올리려고 했던 기존의 계획과는 달리 데이터서버로 쓸 NAS와 원격 컴퓨팅 및 갖가지 작업 용도의 서버를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2. 단점 예산을 두번 집행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부가적인 소비가 필요합니다. 케이스, 파워 메인보드 등 하드웨어에 대한 이중 지출이 불가피하며 물리적으로 분리되어있으므로 두개의 하드웨어를 관리해줘야 합니다. 3. 장점 데이터 서버가 분리되어있으므.. 이전 1 2 다음